Automotive/Automotive Motor (차량용 모터)

[Engine] 스타터 (Starter) 모터

날아라용팔이 2024. 12. 31. 06:06
반응형

스타터 모터는 엔진을 기동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아서 엔진이 자체적으로 움직일 때까지 엔진을 구동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 동작은 아래와 같다. 

 

1.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를 Start 위치로 돌릴 때, 배터리 전류가 이그니션 스위치의 Start 접점을 통해서 흐른다.

2. 배터리 전류는 실내 정션박스의 Start 퓨즈를 통하며, 퓨즈 이후의 회로가 short되어 퓨즈가 파손되지 않은 이상 다음 회로로 연결된다. 

3. 도난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경우 BCM이 시동을 통제한다.

4. 도난 방지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거나, 도난 방지에 이상이 없는 경우, 엔진룸 정션박스를 통해서 인히비터 스위치로 연결된다.

5. 인히비터 스위치가 P, N에 있는 경우 스타트 릴레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한다.

6. 스타트 릴레이 코일이 여자되어 스타트 릴레이 스위치를 동작시킨다.

7. 스타트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공급된 전류는 스타터 모터 내 솔레노이드를 여자 시킨다. 이 때 Contactorturn on되어서 모터를 구동 시킨다.

8. 솔레노이드가 여자되는 순간 Plunger의 이동으로 Contactor가 연결되고, Pinion 기어가 Flywheel에 체결된다.

9. Flywheel과 Pinion의 기어비로는 엔진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스타터 모터 내부에는 Planetary gear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3-5 1기어비를 가지고 있다.   

10. 엔진이 기동된 이후, 스타터가 계속 물려 있으면 엔진의 빠른 속도로 인해서 스타터가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Clutch를 이용해서 엔진 연결을 해제한다.

 

스타팅 회로

 

 

스타터 전류는 엔진 RPM에 반비례해서 동작한다. 

11. 초기 기동시에 정지되어 있는 엔진을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전류가 필요하다. 특히 추운 날씨에 시동을 거는 경우 엔진 자체의 구동과 날씨에 의해서 증가한 마찰을 이겨내는 구동력이 필요해서 더욱 많은 전류가 필요하게 된다. 배터리의 특성 중 CCA(Cold Cranking Ampere)가 높은 배터리를 사용하면 좋다.

12. 엔진이 기동을 시작한 후 연료에 의한 엔진 구동 전까지의 시간이다.

13. 연료에 의해서 엔진이 구동되어 엔진 rpm이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idle rpm을 유지한다.

 

 

※ 참고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kFsl5r34lCI

https://www.youtube.com/watch?v=VRe_hKxzKUg

 

반응형